1.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권리, 데이터 주권의 탄생 인간이 하루에도 수십 번씩 스마트폰을 열고, 검색을 하고, 결제를 하는 세상에서 데이터는 ‘디지털 금’이라 불릴 만큼 중요한 자원이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이 생산한 데이터가 어디로 가고,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는지 알지 못한다. 우리가 SNS에 올린 사진, 클릭한 쇼핑 상품, 심지어 위치 기록까지도 거대한 서버에 저장되어 기업의 자산이 된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개인은 데이터의 주체이지만 동시에 데이터의 소유권을 상실한 존재가 된다. 데이터 주권(Data Sovereignty)은 이러한 현실에 대한 반발에서 탄생한 개념이다. 이는 개인이 자신이 생산한 모든 디지털 데이터의 소유권과 통제권을 직접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데이터 주권은 ..